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후를 위해 꼭 준비해야 할 저축과 적금

by 레트로 써니 2025. 4. 16.

안녕하세요

레트로 써니입니다.

 

요즘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어르신들이 자주 하시는 말이 있죠!!

"내가 너무 오래 살고 있다"라고 하시면서

미안하다는...

 

우리나라 정서에서는 

이런 말이 참 슬프고 안타깝습니다.

 

아마 부모의 오랜 생존이 

자식한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해서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곧 베이비부머 세대도 노후를 맞이할 텐데

미리 노후를 위한 어떤 준비가 필요할지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 노후생활의 기본 소득

✔️ 왜 필요할까요?

국민연금은 국가가 평생 지급해 주는 연금으로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되면 받을 수가 있습니다.
출생연도에 따라

매달 일정 금액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1953~1956년생: 만 61세부터
  • 1957~1960년생: 만 62세부터
  • 1961~1964년생: 만 63세부터
  • 1965~1968년생: 만 64세부터
  • 1969년 이후 출생자: 만 65세부터

 

 

✔️ 미가입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입이 안 되어 있더라도

국민연금공단에 '임의가입자'로 등록 가능하며

60세까지 납입할 수 있고, 최소 10년 이상 가입해야 합니다.

💡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내가 받을 예상 연금액도 미리 조회할 수 있어요!

 

국민연금으로는 물가상승대비, 생활이 풍족하지 않기에

다른 준비를 해야 합니다.

 

 

2. 연금저축 &IRP – 세금도 줄이고 노후연금도 만들기

✔️ 왜 필요할까요?

국민연금만으로는 충분한 노후 생활비를 확보할 수 없기에

개인연금을 통해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금저축: 연간 400만원 납입 가능, 연말정산 때 세금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며,

     퇴직금과 추가 저축을 함께 운용할 수 있습니다.

 

✔️ 어떻게 시작하나요?

*은행, 증권사, 보험사 앱에서 연금저축펀드 또는 IRP 계좌 개설

*매달 자동이체 설정

*안전한 예금형 / 중위험 채권형 / 고수익 펀드형 등

내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예금형 50%, 채권형 50%”처럼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3. 주택연금: 자산을 소득으로 전환

✔️ 왜 필요할까요?

집은 있는데, 매달 들어오는 돈은 없어요하시는 분들께 좋은 제도입니다.

집을 팔지 않고도,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주택연금입니다.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금 흐름이 부족한 경우,

주택연금을 통해 자산을 소득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예시

65세 어르신이 6억짜리 아파트에 혼자 살고 있다면
주택연금 신청 시 매달 80~100만 원 정도를 수령 가능
사망할 때까지 거주 보장 + 돈도 받음!

✔️ 어떻게 신청하나요?

*만 55세 이상

*부부기준 공시가 12억 원 이하 주택 소유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
자녀가 집을 물려받지 않아도 괜찮다고 할 경우,

생활비 걱정을 확 줄일 수 있어요.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평생 거주하면서 매달 일정 금액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 안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비상금 저축 – ‘혹시 몰라서’ 꼭 필요한 통장

✔️ 왜 필요할까요?

노후에는 정기적인 수입이 줄어들고,
갑자기 병원비, 집 수리비, 경조사비 같은 예상치 못한 지출이 생깁니다.

그래서 비상금 통장을 하나 만들어 두면 정말 든든합니다.

 

▶️ 예시

생활비 200만 원 가정 시 최소 600만원 이상 예비비 준비

 

✔️ 어떻게 만들까요?

*CMA 통장 또는 인터넷은행 자유적금 통장에 따로 개설

*월 20만 원씩 자동이체 1년이면 240만 원

*이 통장은 절대 인출하지 않기! ‘진짜 위기 상황에만 사용합니다

💡
비상금은 카드로 쓰는 것보다 현금성 예금으로 준비하는 게 더 안전해요.

 

5. 건강 대비 저축 – 병원비도 미리 준비하자

✔️ 왜 필요할까요?

나이 들수록 의료비 부담이 커집니다.
특히 치과, 안과, 한방은 실손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항목이 많아요.

 

▶️ 예시

*틀니·임플란트 비용: 수백만 원

*시력교정·백내장 수술 등도 자비 부담

*매달 약값, 건강보조식품, 정기검진 등도 무시 못 해요

 

✔️ 어떻게 준비하나요?

*매달 5~10만 원 정도 의료비 통장에 따로 저축

*실손보험 유지 + 부족한 보장은 저축으로 커버

*건강검진 결과에 따라 항목별로 대비 계획 세우기

💡
60세 이후는 보험 갱신료가 많이 올라가니 보장 내용 잘 확인하고 준비하세요.

 

 

요약표 한눈에 보는 노후 저축 체크리스트

항목 준비 이유 실천 방법
국민연금 노후소득 기본 최소 10년 이상 납입, 예상수령액 확인
연금저축/IRP 부족한 생활비 보완 + 세액공제 매월 자동이체, 400~700만 원 한도
주택연금 집을 소득으로 전환 55세 이상, 공시가 12억 이하 주택 소유자 가능
비상금 저축 갑작스러운 지출 대비 CMA 또는 자유적금 통장에 월 20만 원씩
건강 대비금 의료비 부담 대비 병원비/약값용 통장 별도 마련, 실손보험 유지

 

 

 

==>> 노후 준비는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하는 지속적인 습관입니다.
매달 10만 원씩만 적립해도 10년이면 1,200만 원!


지금부터 국민연금, 개인연금, 생활비, 의료비까지 목적별로 쪼개서 준비하면
훗날 훨씬 여유롭고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