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금보호한도 상향, 얼마까지 예금해야 안전한가?

by 레트로 써니 2025. 5. 8.

좋은 하루,

레트로써니입니다.

 

예금보호한도가 얼마인지 알고 있으신가요?

5천만원입니다.

 

오는 2025년 9월부터 예금보호한도가 기존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될 전망인데

2001년 이후 변화가 없었던 예금보호한도가 이제서야 개정되는 것입니다.

 

예금보호한도 상향한 이유?

예금보호한도란 금융기관이 파산 또는 지급 불능 상태에 빠졌을 때,

예금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을 의미합니다.

 

현재 예금보호 한도는 5천만 원으로, 지난 2001년 이후 변동이 없었는데

최근 경제 규모 확대뿐 아니라 금융 환경 변화로 인해

이 금액이 현실적이지 않았습니다.

 

이제  2025년 7월 시행될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더불어,

예금자 보호한도 상향이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합니다.

 

특히, 금융사들의 내부 준비도 필요하며

자금 이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행 시기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예금보호제도의 적용 원칙

예금보호제도는 금융회사별로 적용되며

각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마다 개인당 최대 1억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즉, 여러 금융기관에 예금을 분산하면

 금융기관에서 각각 보호한도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시

예금자보호제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 상황 1: 여러 은행에 예치한 경우
    • A은행에 1억 원 예치: 전액 보호
    • B은행에 1억 원 예치: 전액 보호
    • C저축은행에 1억 원 예치: 전액 보호
    • 결론: 각 금융기관마다 별도로 보호받으므로 총 3억 원까지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 상황 2: 한 은행 내 여러 계좌에 예치한 경우
    • A은행에 정기예금 6천만 원 예치
    • A은행에 적금 4천만 원 예치
    • 결론: 동일 금융기관 내 여러 계좌는 합산하여 보호되므로 총 1억 원까지만 보호됩니다.
  • 상황 3: 금융기관이 다른 경우
    • A은행에 1억 원
    • B저축은행에 1억 원
    • C보험사에 1억 원
    • 결론: 금융기관이 다르므로 각 기관별로 각각 1억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어, 총 3억 원까지 보호됩니다.

 

안전하게 예금하는 방법

1. 금융기관별 분산 예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예금을 여러 금융기관에 분산하는 것이다.

예금자 보호한도는 금융기관별로 적용되므로,

한 은행에 집중하지 않고 다양한 은행에 나누어 예치하면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2. 금융상품 유형 고려

모든 금융상품이 보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는 상품과 보호되지 않는 상품을 구분하여

자산을 분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호되는 상품:

    • 정기예금, 입출금통장, 적금
    •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는 저축성 보험

*보호되지 않는 상품:

    • 주식형 상품, 채권형 상품, 펀드
    • 파생상품, 변액보험, 신탁

3. 동일 금융기관 내 예치금액 관리

한 금융기관 내 여러 계좌를 개설해도 보호한도는 합산하여 계산되며

따라서 한 은행에 너무 많은 금액을 예치하는 것은 위험하니 

분산해서 예치하셔야 합니다.

 

4. 고금리 상품의 위험도?

일부 저축은행이나 제2금융권에서 높은 금리를 제시하더라도

보호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은 위험하며

금리가 높더라도 안정성이 낮은 금융기관에 큰 금액을 맡기는 것은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5. 금융기관 신용도 체크하기

예금을 예치하기 전에는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을 확인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신용등급이 낮은 금융기관일수록 파산 위험이 높을 수 있으니

안정성이 검증된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예금자 보호한도가 1억 원으로 상향되어도

한 금융기관에 과도하게 예금을 몰아넣는 것은 위험!

 

다양한 금융기관에 분산 예치하고, 보호 대상 금융상품인지 확인하며,

금리와 안전성을 동시에 고려한 자산 관리를 해야 합니다.

 

금융기관별로 안전하게 예금을 분산하여

보호한도를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을 세운다면

금융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자산 관리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실행될 예금보호한도를 잘 인지하셔서

안전한 자산관리 하시기 바랍니다.